관리자로그인   |   즐겨찾기 추가
병원소개 | 혈액투석센터 | 내과 클리닉 | 건강 클리닉 | 검사소개 | 커뮤니티
만성신질환고혈압·고지혈증당뇨골다공증갑상선통풍

새로운내과

고혈압 · 고지혈증

정확한 진단과 올바른 치료를 약속합니다.


고혈압이란?



고혈압 기준


해당 표는 손가락으로 좌우로 스크롤 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정상고혈압 경계고혈압 1단계고혈압 2단계
수축기120 미만120 ~ 139 미만140 ~ 159 미만160 이상
이완기80 미만80 ~ 89 미만90 ~ 99 미만100 이상

고혈압 원인


  • 1차성 고혈압
    -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고혈압을 의미하며, 본태성 고혈압이라고도 합니다.
    - 전체 고혈압 환자의 90~95% 이상이 해당되는데, 대개 나이가 들면서 점차 증가합니다.
    - 유전 경향이 강하며 소금 섭취량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률이 높은 편입니다.
  • 2차성 고혈압
    - 기존에 환자가 앓고 있던 다른 질환에 의해 고혈압이 유발된 것을 의미합니다.
    - 신장질환이나 부신 종양, 일부 선천성 심장질환 등 질환 및 일부 약물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전체 고혈압 환자의 5~10% 정도가 해당되며, 1차성 고혈압에 비해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고 혈압도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 심장질환 내분비성
    - 신경성 : 뇌염, 만성 뇌막염, 뇌종양, 다발성 신경염 등
    - 내분비성 : 갑상선 기능 항진증/저하증, 갈색 종, 말단비대증 등
    - 혈관성 : 대동맥 주위염, 대동맥 경화증 등
    - 신성고혈압 : 만성 신우신염, 급성 및 만성 사구체신염, 신혈관성, 신결핵, 신종양 등

고혈압 합병증


  • 동맥경화

  • 대동맥류

  • 신부전

  • 관상동맥질환

  • 시력저하

  • 부종


고혈압 치료법



고혈압 예비군(전단계)의 경우 대부분 약을 복용할 정도는 아니라는 진단을 듣게 되는데, 이는 '약을 먹지 않아도 된다'라는 뜻이 아닙니다.
'방치하면 고혈압으로 발전된다'는 의미입니다.

고혈압 치료를 위해 고혈압 약을 복용하게 된다면 평생 계속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후에 혈압 조절이 잘 되어 약을 줄이거나 끊어볼 수도 있지만 그런 경우에도 고혈압이 완치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 고혈압 전단계 치료

    - 담배를 끊고 술을 삼갑니다.
    - 건강한 식습관(염분섭취 줄이기, 과식피하기, 칼륨섭취 등)
    -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 스트레스를 피하고 평온한 마음을 유지합니다.
    -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의사의 진찰을 생활화 합니다.

  • 1단계 고혈압 치료

    - 생활관리요법(고혈압 전단계 치료요법)과 약물요법을 병행합니다.

  • 2단계 고혈압 치료

    -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과 혈압을 목표치까지 낮추기위해 즉시 약물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고지혈증이란?



고지혈증 기준


해당 표는 손가락으로 좌우로 스크롤 해서 볼 수 있습니다.
중성지방LDL(나쁜 콜레스테롤)HDL(좋은 콜레스테롤)총 콜레스테롤
정상150mg/dL 미만100~129mg/dL60mg/dL 이상200mg/dL 미만
고지혈증200mg/dL 이상160mg/dL 이상40mg/dL 미만240mg/dL 이상

고지혈증 원인


  • 생활 습관의 원인
    - 지방위주의 식사 : 육류, 계란 노른자, 치즈 등과 같은 동물성 지방 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경우
    - 운동부족, 비만
  • 유전적 원인
    일부 환자는 유전적 이상으로 고지혈증이 발생합니다.
  • 기타 원인
    - 흡연 및 잦은 음주
    - 기타질환 : 당뇨병, 갑상선기능저하증, 간질환, 신장질환, 비만등이 있는 경우
    → 이 경우에는 원인이 되는 병의 치료가 우선입니다

고지혈증 증상 및 합병증


  • 고지혈증은 그 자체만으로는 자각증상이 거의 없습니다.
  • 합병증이 발병해서야 신호가 나타납니다.
  • 혈관 벽에 쌓인 콜레스테롤 덩어리가 터져 협심증, 심근경색, 뇌혈관질환 등으로 진행된 후에 흉통이나 호흡곤란 같은 이상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 뇌졸증

  • 심근경색

  • 협심증

  • 동맥경화증

  • 췌장염


고지혈증 치료법


  • 꾸준한 운동

    - 적절한 운동으로 표준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걷거나 조깅, 줄넘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올바른 식사 방법

    - 섭취하는 지방량을 총 섭취 칼로리의 25~35%로 제한합니다.
    - 쇠기름, 돼지기름 등 모든 동물성 기름 버터, 쇼트닝, 팜유 등의포화지방산 섭취를 줄입니다.

  • 약물 요법

    -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으로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약물을 사용합니다.
    -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떨어뜨리는 약물은 의사와 충분히 상담 후 처방 받아 복용합니다.